Search

HyperLab 2.0 출시 및 운영

About [Hyper Lab 2.0]
HyperLab 2.0은 기존 HyperLab 1.0에서 해결하지 못한 문제점들을 보완하여 출시되었습니다.
기존 HyperLab 1.0에서 제공하는 핵심 AI 기술에 대한 정확도를 향상시키고, 의약화학자 중심의 기능에서 생물학자까지 사용 가능한 기능을 탑재하여 타겟 유저층을 확장하였습니다.
여러 도구를 오가며 발생하는 물리적인 시간과 데이터 유동성 등의 비효율성을 문제를 해결하여, 의약화학자와 생물학자 모두가 하나의 플랫폼에서 신약개발 전 과정을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습니다.
 Hyper Lab 페이지 바로가기

 Overview

HyperLab 2.0 기능 및 고객 메시지 전달 프로세스 정리, 고객 의사결정 최소화를 위한 가격 정책 개선
HyperLab 2.0 출시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기존 HyperLab 1.0 출시 프로젝트에서의 역할보다 더 확장된 업무 범위를 담당하여 제품 출시와 영업, 마케팅 전략까지 직접적으로 관여하였습니다.
HyperLab 1.0 출시 때와 유사하게, 기능 탑재와 관련된 커뮤니케이션 HUB 역할을 담당하여 신약개발본부, 연구본부와 메이커집단(디자이너, 개발자) 간의 커뮤니케이션에 오류가 발생하지 않도록 적극적으로 조율하였습니다.
HyperLab 2.0 출시를 대비하여 기존 HyperLab 1.0의 가격 정책에 부담을 느끼는 고객의 Pain Point를 적극적으로 개선하여 고객의 의사결정 프로세스를 최소화하는 단일 플랜 정책으로 개선하고, 고객 프로모션 전략도 수립하였습니다.
또한 HyperLab 2.0 출시 이후 지속적 업데이트 시에 고객과 직접적으로 소통하는 모든 채널에 대해 일관된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한 NPI(New Product Introdution) 프로세스를 수립하여 PM/마케팅/영업 간의 USP(Unique Selling Proposition)와 Key Message를 Align하는 적극적인 협업 프로세스를 구축하였습니다.

Work Details

프로젝트 구성 인원 : 11명(2025.06 기준)
기여도
Search
이름
기여도
100%
⬜️⬜️ 80%
⬜️⬜️⬜️⬜️⬜️ 50%
⬜️⬜️⬜️⬜️⬜️ 50%
기획
HyperLab 2.0 기능 기획
학회 등 하이퍼랩 사용자 온보딩을 위한 서비스 기획 진행
서비스 운영
HyperLab 2.0 가격 정책 수립
일정 / 작업 관리
Hyper Lab 개발 Sprint 관리
커뮤니케이션
작업자 및 유관부서와 지속적인 소통
NPI(New Product Introduction) 프로세스 수립

 Result

HyperLab 2.0 출시 이후 신규 고객 가입률 HyperLab 1.0 대비 60% 증가
HyperLab 2.0의 유료 전환율 및 재구독률 HyperLab 1.0 대비 30% 증가
HyerpLab 2.0 가격 정책 변경 이후 가격에 대한 부담감을 느끼는 고객 비율 0%
 Next
마지막 페이지 입니다.
 돌아가기